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워드 임베딩
- cs50
- 백준 7795
- neo4j 제약조건
- 백준
- 플로이드워셜
- PREFECT
- nodemon babel
- 백준 회전초밥
- neo4j
- gensim
- GET REQUESTS
- 알고리즘
- gensim_models
- 그랜빌의 법칙
- neo4j 스키마 정의
- 파이썬
- Sequenial
- 백준 2470
- 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 spring-boot2
- express
- BFS
- neo4j 인덱스 사용
- spring-boot3
- gensim size
- 투포인터
- 첫서버
- pandas-profiling
- 텍스트전처리
- Today
- Total
목록cs50 (3)
정리정돈

작성한 코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컴파일링이 필요하다. 작성된 텍스트 형식의 파일은 컴파일링 시 구체적으로 어떠한 단계를 거쳐서 컴퓨터가 해석가능한 파일로 변환되는지 확인한다. 코드를 예시로 보면 우선 main함수가 있다. 프로그램의 시작점으로써 실행 버튼을 클릭하는 것과 같다. printf는 출력을 담당하는 함수이다. printf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tdio.h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 stdio.h는 헤더 파일로 C언어로 작성되어 있으며 파일명이 .h로 끝나는 파일이다. 해당 파일에는 printf 함수의 프로토타입이 있어서 Clang 컴파일러가 프로그램을 컴파일할때 printf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코드를 clang hello.c로 컴파일하고 ./a.out 명령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
컴퓨터는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해 다양한 물리적 장치를 사용한다. 그 중 하나는 메모리로, 프로그램이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곳이다. 메모리의 용량은 무한하지 않기 때문에, 때때로 프로그램에서 우리가 의도하지 않은 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컴퓨터는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이라는 물리적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작성한 프로그램은 구동 중에 RAM에 저장되는데, RAM은 유한한 크기의 비트만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때때로 부정확한 결과를 내기도 한다. 오버플로우 - 컴퓨터 하드웨어의 한계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로, 변수가 담을 수 있는 최대 허용 범위를 벗어난 값을 저장해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오는 현상 부동 소수점 부정확성 #include #include i..

알고리즘 컴퓨팅은 입력을 받아 그 입력을 철리한 후 출력하는 과정이다. 알고리즘은 입력(input)에서 받은 자료를 출력(output)형태로 만드는 처리 과정을 뜻한다. 즉, 알고리즘이란 입력값을 출력값의 형태로 바꾸기 위해 어떤 명령들이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규칙들의 순서적 나열이다. 이러한 일련의 순서적 규칙들을 어떻게 나열하는지에 따라 알고리즘의 종류가 달라진다. 같은 출력값이더라도 알고리즘에 따라 출력을 하기까지의 시간이 다를 수 있다. 정확한 알고리즘 예시) 전화번호부에서 Mike Smith를 찾는 일을 한다고 한다. 전화번호부를 집어 들고 첫 페이지를 펼친 후 Mike Smith가 그 페이지에 있는지 찾는다. 없다면 그 다음페이지에서 찾는다. Mike Smith를 찾을 때까지 혹은 전화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