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eo4j 인덱스 사용
- neo4j 제약조건
- 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 gensim size
- Sequenial
- 백준 7795
- 그랜빌의 법칙
- gensim_models
- 투포인터
- pandas-profiling
- BFS
- 백준 회전초밥
- 플로이드워셜
- cs50
- neo4j 스키마 정의
- gensim
- 워드 임베딩
- 알고리즘
- 파이썬
- nodemon babel
- 백준 2470
- 첫서버
- express
- neo4j
- spring-boot3
- 백준
- 텍스트전처리
- PREFECT
- spring-boot2
- GET REQUESTS
- Today
- Total
목록파이썬 (3)
정리정돈
--------------------------------------------------------------------------- TypeErro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in 2 from gensim.models import KeyedVectors 3 ----> 4 model = Word2Vec(sentences = result, size = 100, window = 5, min_count=5, workers=4, sg=0) TypeError: __init__() got an unexpected keyword argument 'size' size -> vector_size로 변경해주면 된다.
AttributeError: partially initialized module 'logging' has no attribute 'getLogger' (most likely due to a circular import) 해당 오류는 실행하려는 파일과 import 하려는 라이브러리의 이름이 같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였던것 같다.

docstring은 소스 코드에 포함된 문서(documentation)이다. docstring은 기본적으로 리터럴 문자열이며, 로직의 일부분을 문서화하기 위해 코드 어딘가에 배치된다. 코드에 주석(comment)을 다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로 나쁜 습관이다. 주석은 코드로 아이디어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만약 무언가를 왜 어떻게 하는지 꼭 설명해야 한다면 그 코드는 아마도 충분히 좋지 못한 것이다. 이러한 코드는 초급자가 이해하기 어렵다. 오해의 소지가 있다. 복잡한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시간을 할애하는 것보다 최악은 코드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주석을 확인한 후 실제로 동작하는 것의 다른 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람들은 코드를 변경할 때 주석 업데이트를 깜빡하는 경우가 많으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