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알고리즘
- PREFECT
- 백준 2470
- neo4j 스키마 정의
- nodemon babel
- pandas-profiling
- spring-boot3
- 워드 임베딩
- 플로이드워셜
- 파이썬
- neo4j
- gensim
- 백준
- neo4j 인덱스 사용
- gensim_models
- 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 cs50
- GET REQUESTS
- 첫서버
- 그랜빌의 법칙
- BFS
- neo4j 제약조건
- 백준 회전초밥
- spring-boot2
- 투포인터
- 백준 7795
- 텍스트전처리
- Sequenial
- express
- gensim size
- Today
- Total
목록생활코딩 (3)
정리정돈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미리 적어두고 해당 명령어를 한번에 실행시킬 수 있게끔 해준다. 스크립트 작성(예시) nano backup backup이라는 이름의 스크립트를 만들어준다. 스크립트에 아래와 같이 적는다. #!/bin/bash if ! [-d bak]; then #만약 bak 디렉토리가 없다면 mkdir bak # bak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fi # if 문 종료 cp *.log bak # bak디렉토리 안에 .log 확장자 파일 모두를 복사한다. #!/bin/bash : 작성한 코드는 'bash를 통해 해석되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d 디렉토리명 : -d 는 디렉토리를 의미 [] : 현재 디렉토리 안에 ! : 존재하지 않는다면(not) then : 그렇다면 mkdir 디렉토리명 ..

linux 에서 echo $0 이라고 입력하면 어떤 shell을 사용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zsh, bash 모두 shell이며 해당 shell을 통해 명령어가 커널로 전달된다. bash 와 ZSH 의 명령어 차이점(예시) cd + tab : - bash : 숨김 디렉토리를 포함한 모든 디렉토리를 볼 수 있다. - zsh : 숨김 디렉토리를 제외한 디렉토리를 볼 수 있다. cd 디렉토리 이동: - bash : cd /h/u/d 명령어 사용 X(/home/user/Downloads/로 이동하고 싶었을 때) - zsh : cd /h/u/d/ 명령어 사용 O -> /home/user/Downloads로 자동완성됨 bash와 비교하여 zsh가 보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는 정보를 요청하는 쪽이고 서버는 정보를 제공하는 쪽이다. HTTP 웹 서버와 웹클라이언트가 서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약속(protocol)이다. 클라이언트가 정보를 요청할때는 어떻게 해야하고, 서버가 그에 따른 정보의 제공에 응답을 어떻게 해야하는 지에 대한 규칙을 정해둔 것이다. Web Server 웹서버는 다른 말로 HTTP Server라고도 부르며 웹이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대표적인 웹서버는 Apache가 있다. NGINX NGINX는 차세대 웹서버로 불린다. NGINX의 특징은 "더 적은 자원으로 더 빠르게 데이터를 서비스 할 수 있다." NGINX와 Apache의 관계 Apache는 오래전에 만들어진 소프트웨어이다 보니 Apache가 만들어진 시대의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