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백준
- neo4j 제약조건
- neo4j 인덱스 사용
- 파이썬
- nodemon babel
- PREFECT
- gensim_models
- gensim
- 투포인터
- 백준 7795
- cs50
- 플로이드워셜
- neo4j 스키마 정의
- 워드 임베딩
- 알고리즘
- spring-boot2
- 첫서버
- spring-boot3
- Sequenial
- 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 gensim size
- express
- GET REQUESTS
- BFS
- 텍스트전처리
- 백준 회전초밥
- 그랜빌의 법칙
- 백준 2470
- neo4j
- pandas-profiling
- Today
- Total
목록알고리즘/백준 (10)
정리정돈
https://www.acmicpc.net/problem/7453 7453번: 합이 0인 네 정수 첫째 줄에 배열의 크기 n (1 ≤ n ≤ 40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 줄에는 A, B, C, D에 포함되는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져서 주어진다. 배열에 들어있는 정수의 절댓값은 최대 228이다. www.acmicpc.net 나의 풀이(시간 초과)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A, B, C, D = [],[],[],[] for _ in range(n): q,w,e,r = map(int,input().split()) A.append(q) B.append(w) C.append(e) D.append(r) A = sorted(A) B = ..
https://www.acmicpc.net/problem/7795 7795번: 먹을 것인가 먹힐 것인가 심해에는 두 종류의 생명체 A와 B가 존재한다. A는 B를 먹는다. A는 자기보다 크기가 작은 먹이만 먹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의 크기가 {8, 1, 7, 3, 1}이고, B의 크기가 {3, 6, 1}인 경우에 A가 B를 먹을 www.acmicpc.net 나의 풀이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t = int(input()) for _ in range(t): n, m = map(int,input().split()) a = map(int,input().split()) b = map(int,input().split()) a = sorted(a) b = sorted..
https://www.acmicpc.net/problem/2531 2531번: 회전 초밥 첫 번째 줄에는 회전 초밥 벨트에 놓인 접시의 수 N, 초밥의 가짓수 d, 연속해서 먹는 접시의 수 k, 쿠폰 번호 c가 각각 하나의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단, 2 ≤ N ≤ 30,000, 2 ≤ d ≤ 3,000, 2 ≤ www.acmicpc.net 나의 풀이(실패)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n, d, k, c = map(int,input().split()) sushi_list = [] for _ in range(n): sushi_list.append(int(input())) end = 1 max_len = 0 for start in range(n): while end <..
https://www.acmicpc.net/problem/2470 2470번: 두 용액 첫째 줄에는 전체 용액의 수 N이 입력된다. N은 2 이상 100,000 이하이다. 둘째 줄에는 용액의 특성값을 나타내는 N개의 정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이 수들은 모두 -1,000,000,000 이상 1,000,00 www.acmicpc.net 나의 풀이(실패) n = int(input()) INF = int(1e9) li = list(map(int,input().split())) li = sorted(li) min_sum = INF for i in li: temp = li.copy() temp.remove(i) start = 0 end = len(temp) while start < end: mid = ..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8 11728번: 배열 합치기 첫째 줄에 배열 A의 크기 N, 배열 B의 크기 M이 주어진다. (1 ≤ N, M ≤ 1,000,000) 둘째 줄에는 배열 A의 내용이, 셋째 줄에는 배열 B의 내용이 주어진다. 배열에 들어있는 수는 절댓값이 109보다 작거 www.acmicpc.net n, m = map(int, input().split()) a = list(map(int,input().split())) b = list(map(int,input().split())) answer = [] a_start = 0 b_start = 0 while a_start < n or b_start= m or (a_start < n and a[a_start]
https://www.acmicpc.net/problem/1644 n = int(input()) # 소수 구하기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def prime_list(n): sieve = [True] * (n+1) m = int(n ** 0.5) for i in range(2, m+1): if sieve[i] == True: for j in range(i+i, n+1, i): sieve[j] = False return [i for i in range(2, n+1) if sieve[i] == True] # 구한 소수로 투포인터 활용 pl = prime_list(n) end = 0 interval_sum = 0 cnt = 0 for start in range(len(pl)): while interval_sum ..
1초일 때의 갈수 있는 경우의 수 2초일때 갈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배열형태로 만들어주어 초단위로 queue에서 빠져 나올 수 있게끔 해주었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k = map(int,input().split()) queue = deque([[n]]) visited = [False]*100001 cnt = 0 visited[n] = True while queue: # 이중배열 if visited[k] == True: # 만약 원하는 k랑 n이 만나는 순간 종료 break v = queue.popleft() # 나오게되면 1차원 배열 temp = [] # 빈배열 temp(한사이클을 판별할 수 있겠끔) for i in v: # 1차원배열을 대상으로 for문 steps..
"OOXXOXXOOO"와 같은 OX퀴즈의 결과가 있다. O는 문제를 맞은 것이고, X는 문제를 틀린 것이다. 문제를 맞은 경우 그 문제의 점수는 그 문제까지 연속된 O의 개수가 된다. 예를 들어, 10번 문제의 점수는 3이 된다. "OOXXOXXOOO"의 점수는 1+2+0+0+1+0+0+1+2+3 = 10점이다. OX퀴즈의 결과가 주어졌을 때, 점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OX퀴즈 8958 #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n 을 받아줌 n = int(input()) for _ in range(n): a = input() # 케이스 값을 받아줌 ex 'OOXXOXXOOO' score = 0 # 점수 cnt = 0 # 연속된 'O'의 개수 for i in range(len(a)): # 케이스의 길이만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