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정돈

Express 사용(1) 본문

노마드코더/클론코딩

Express 사용(1)

XZXXZX 2021. 9. 14. 20:21
728x90
반응형
import express from "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handleListening = () => console.log("Server listening on port 4000 🚀")

app.listen(4000, handleListening)

 

import를 통해 express를 가져오고

 

app에 저장해준다.

 

listen 이란 request(컴퓨터(서버)가 누군가의 요청)를 알아채고 무언가 해야된다는 것을 뜻한다.

listen 에는 포트번호와 callback 함수가 들어간다.

 

callback 이란 javascript에서 다른 함수의 매개변수로 함수를 전달하고,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한 후 매개변수로 전달한 함수가 다시 호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callback은 어떠한 행동을 다른 객체에게 시키고 그 일이 끝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끝나고 부를 때까지 다른 일을 하는 것이다.

 

url 에 localhost:4000 을 입력 후 이동하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면 응답이 온것을 볼 수 있다. 만약 서버를 종료하고 다시 들어가보면 서버가 죽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서버가 살아있는 경우
서버가 죽어있는 경우

 

따라서 서버를 열어 놓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import express from "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4000;

const handleListening = () => console.log(`Server listening on port http://localhost:${PORT} 🚀`)

app.listen(PORT, handleListening)

 

위의 코드를 아래와 같이 작성하는 것이 좋다.

728x90
반응형

'노마드코더 > 클론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ponses  (0) 2021.09.15
GET Requests  (0) 2021.09.14
Nodemon(babel)  (0) 2021.09.14
Babel(JavaScript compiler)  (0) 2021.09.14
Express  (0) 2021.09.12